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(MSA)를 위한 Kubernetes 클러스터
    kubernetes 2024. 8. 30. 21:03

   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(MSA)를 위한 Kubernetes 클러스터를 설계하고 구축하는 데 있어 Kubernetes 엔지니어가 해야 할 업무를 여러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업무 범위를 정리할 수 있습니다. 이 과정은 시스템의 요구 사항에 따라 세분화될 수 있으며, 각 단계는 여러 명의 엔지니어가 협력하여 수행될 수 있습니다.

    1. 인프라 준비 및 클러스터 구축

    1.1 인프라 준비

    • 클라우드 제공업체 선택: AWS, GCP, Azure, 온프레미스 등
    • 서버 프로비저닝: 클러스터 노드(마스터 및 워커)의 프로비저닝
    • 네트워크 설정: VPC, 서브넷, 라우팅, 보안 그룹 등 설정

    1.2 클러스터 설치

    • 클러스터 설치 도구 선택: kubeadm, kops, kubespray, 클라우드 제공업체의 관리형 Kubernetes 서비스(EKS, GKE, AKS) 등
    • 클러스터 초기화: 마스터 노드 초기화 및 워커 노드 조인
    • 고가용성 설정: 마스터 노드 및 ETCD 클러스터의 고가용성 설정

    2. 네트워킹 설정

    2.1 네트워크 플러그인 설치

    • CNI 플러그인 설치: Calico, Flannel, Weave, Cilium 등

    2.2 서비스 네트워킹

    • 클러스터 내부 네트워크 설정: Pod-to-Pod 네트워킹
    • 서비스 디스커버리 및 로드 밸런싱: Kubernetes 서비스 설정
    • 인그레스 컨트롤러 설치 및 설정: NGINX, Traefik 등

    3. 스토리지 구성

    3.1 스토리지 클래스 및 PV/PVC 설정

    • 스토리지 클래스 생성: 필요한 스토리지 클래스 정의
    • Persistent Volume 및 Persistent Volume Claim 설정: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저장용

    3.2 스토리지 솔루션 통합

    • 스토리지 솔루션 통합: Ceph, NFS, GlusterFS, 클라우드 스토리지 등

    4. 보안 관리

    4.1 인증 및 인가

    • RBAC 설정: 사용자 및 애플리케이션의 접근 권한 관리
    • 서비스 계정 및 네임스페이스 설정

    4.2 네트워크 보안

    • 네트워크 정책 설정: Pod 간 통신 규칙 정의
    • TLS/SSL 인증서 관리

    4.3 시크릿 및 ConfigMap 관리

    • 시크릿 데이터 관리: 비밀번호, API 키 등의 민감한 데이터 관리
    • ConfigMap 관리: 애플리케이션 설정 데이터 관리

    5. 모니터링 및 로깅

    5.1 모니터링 시스템 설치

    • 모니터링 도구 설치: Prometheus, Grafana 등
    • 클러스터 및 애플리케이션 모니터링 설정

    5.2 로깅 시스템 설정

    • 로깅 도구 설치: Fluentd, Elasticsearch, Kibana(ELK 스택) 등
    • 로그 수집 및 분석 설정

    6. CI/CD 파이프라인 구축

    6.1 CI/CD 도구 통합

    • CI/CD 도구 선택: Jenkins, GitLab CI, Argo CD 등
    • CI/CD 파이프라인 설계 및 구현

    6.2 애플리케이션 배포 자동화

    • Helm 차트 작성 및 관리: Kubernetes 애플리케이션 배포를 위한 패키징
    • 배포 전략 설정: 롤링 업데이트, 블루-그린 배포 등

    7. 오토스케일링 설정

    7.1 Pod 오토스케일링

    • Horizontal Pod Autoscaler(HPA) 설정
    • Vertical Pod Autoscaler(VPA) 설정

    7.2 클러스터 오토스케일링

    • Cluster Autoscaler 설정: 클러스터 노드 자동 확장 및 축소

    8. 백업 및 복구 전략

    8.1 데이터 백업

    • 백업 도구 설치: Velero 등
    • 클러스터 리소스 및 데이터 백업 설정

    8.2 복구 전략

    • 재해 복구 계획 수립 및 테스트

    9. 문서화 및 교육

    9.1 문서화

    • 클러스터 아키텍처 문서화
    • 설치 및 운영 가이드 작성

    9.2 교육

    • 팀 교육: 개발팀 및 운영팀을 대상으로 Kubernetes 사용법 및 운영 방법 교육

    10. 지속적인 운영 및 유지보수

    10.1 클러스터 업그레이드

    • Kubernetes 버전 업그레이드 계획 및 실행
    • 네트워크 플러그인 및 기타 도구 업그레이드

    10.2 문제 해결 및 지원

    • 클러스터 모니터링 및 문제 해결
    • 사용자 지원 및 이슈 해결

    이러한 범위 내에서 엔지니어들은 각자의 전문 분야에 맞춰 업무를 수행하게 됩니다. 예를 들어, 네트워크 전문가, 보안 전문가, CI/CD 전문가 등이 각각의 영역을 담당하여 협력할 수 있습니다.

Designed by Tistory.